본문 바로가기
체크리스트/자격증

보육교사 2급 실습시 필수 제출 건강진단서, 보건증 재발급 받는 방법

by Money in 2025. 3. 16.

웬만하면 검사를 다시 받자!

나의 경우 초등학교에서 잠깐 일한 경험이 있어 보건소에서 건강검진을 받았었다. 작년 7월에 받아놓은 건데 아무 생각 없이 유효기간이 1년이니 사용해도 되겠지 하고 온라인으로 재발급을 받았다. 그런데 작년 7월에 검진을 받은 경우이다 보니 실습이 확정된 어린이집에서 건강진단서를 다시 받아오라고 할까 봐 걱정이 되긴 했다. 해커스에스 보육실습 교육영상을 보다 보니 최소 2주 전에 검사를 받고 발급받아가야한다고 들었던 기억이 있다. 이 교육영상도 급하게 실습 바로 전에 듣고 실습을 간 것이라 건강진단을 다시 받을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 실습날은 되었으니 재발급을 받아서 실습할 어린이집에 제출해 보고 기간을 문제 삼으면 다시 받아오겠다고 말할 참이었는데 다행히 문안하게 넘어갔다. 그러나 아직 나의 마음속에는 불안감이 있다. 혹시나 제출된 건강진단서의 날짜가 1년의 기간이 지나지는 않았지만 문제가 된다고 할까 봐 조마조마하긴 하다. 건강진단서는 웬만하면 다시 진단을 받고 발급받아 가자. 지금 필자는 불안하고 후회하고 있는 중이다.

 

건강진단서 발급, 재발급 비용

건강진단서(보건증) 재발급, 발급  비용 : 무료

참고로 건강검진을 받은 날로부터 4일째 되는날 진단서를 온라인에서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다.

건강진단 검사 항목 및 금액

내가 가져간 건강진단서의 검사 항목은 아래와 같다.

- B형 간염검사(선택) : 선택사항이었는데 내가 얼마의 돈(몇천원 정도)을 지불하고 검사를 하겠다고 했다.

- 매독검사

- 미생물배양및동정검사(소변)

- 세균성이질

- 장티푸스

- 흉부

 

나의 경우 B형 간염검사를 포함해 총 8,930원이 비용을 지불했다.

 

건강진단서 온라인 재발급받기

(1)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홈페이지를 방문한다. 아래 링크를 첨부해 놓았다.

https://www.e-health.go.kr/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운영하는 온라인민원 서비스,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등 제증명 발급, 의료비지원 등 안내

www.e-health.go.kr

 

 

(2) 상단 '민원서비스'를 클릭한다.

 

 

(3) 증명분서발급 → '일반건강진단서 국문'을 클릭한다.

나의 경우 '일반건강진단서 국문'으로 선택해서 들어갔는데 어차피 본인이 발급받았던 증명서의 항목이 나타난다. 그러니 일반건강진단서가 아니어도 클릭해도 상관이 없을 것 같다.

 

 

(4) '위 내용에 모두 동의 및 확인'이 왼쪽 체크 클릭을 한다.

(5) 아래 '간편인증' 버튼을 클릭한다. 나의 경우 카카오톡 간편인증으로 본인 확인을 하는 과정을 거쳤다.

 

 

(6) 인증받을 인증서를 선택한다. 나의 경우 카카오톡을 선택했다.

(7) 이름, 주민등록번호, 휴대폰 번호를 입력한다.

(8) '전체동의'에 체크 클릭을 한다.

(9) 하단 '인증 요청' 버튼을 클릭한다.

 

(10) 본인 휴대폰의 카카오톡에서 인증을 해준다.

 

(11) 하단 '인증 완료' 버튼을 클릭한다.

 

 

 

내가 진단받았던 종류가 나타난다. 나는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가 아니었나 보다. 일반건강진단서였다. 그래도 학교에서 잘 써먹었던지라 그냥 발급받아 가기로 했다. 날짜가 작년 7월이다. 1년 유효기간으로 알고 있다. 그래도 필자처럼 날짜로 인해 불안하게 보건증을 가져가지 말고 웬만하면 다시 진료를 받아보는 게 나을 것 같다.

 

(12) 우측 '발급받기' 버튼을 클릭한다.

(13) '주민등록 뒷자리 표시''표시'로 클릭한다.

(14) 용도에 '기관제출'이라고 입력한다.

(15) 하단 '발급신청' 버튼을 클릭한다.

 

 

(16) '신청하겠습니까?'라는 팝업창이 뜨면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17) 저장 아이콘을 클릭한다. 나의 경우 PDF로 저장해 보관도 하고 프린트를 해서 가져갈 생각이다.

(8) 아래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19) 다운로드한 진단서를 열 때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열리는데 주민등록번호의 뒷 6자리를 입력하면 된다.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아래처럼 나의 건강검진 내역 PDF 파일이 다운로드하여졌다.

 

 

바로 프린트를 할 수도 있으니 저장하지 않을 경우 아래처럼 프린터 아이콘을 클릭해서 프린트하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