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체크리스트/공공자료

고용보험, 산재보험 가입 내역 날짜 확인하는 방법 feat.이력서 작성

by Money in 2025. 5. 10.

근무한 날짜가 생각이 나지 않을 때

이력서를 작성하다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이력을 넣어야 했다. 중요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연히 내가 언제 근무를 했는지 잘 기억이 나지 않았다. 다이어리를 사용하지 않은지 몇 년이 흘러서 근무날짜에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었다. 갑자기 고용보험에 가입을 해서 계약만료로 실업급여를 받았던 일이 생각나서 이력서도 작성할 겸 고용보험 이력을 어디서 찾아볼 수 있는지 궁금했다.

 

'고용 산재보험 토털서비스'  고용보험 가입 내역 확인 가능

고용보험 가입 이력은 '고용 산재보험 토털서비스'에서 확인이 가능했는데 처음에는 정부 24에서 되는 줄 알았지만 '고용 산재보험 토털서 서비스' 홈페이지로 링크가 연결되어 있었다. 아직 한 번도 이용해 보지 않은 사이트였는데 나의 고용보험 가입이력을 조회해 보니 첫 고용보험을 가입했던 꼬맹이 시절까지 다 나와 있었다. 보고 있자니 내가 별의별 일을 다하면서 살았구나 싶기도 하다. 

휴대폰으로 확인도 가능하다.

휴대폰에 정부24 앱을 이용하면 휴대폰으로 고용보험가입 이력 내역을 확인 할 수있다. 단 발급은 PC에서 가능하고 모바일로는 확인만 가능하다. (관련 글은 아래 글 참고)

정부24 모바일 앱으로 고용보험 가입 내역 확인하기

 

정확한 취득일과 상실일 확인

고용보험 가입 내역을 보니 사업장명, 취득일, 상실일이 정확하게 나와있었다. 이걸 보고 잊어버린 이력을 이력서에 작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생각보다 간편했고, 실업급여를 받기 전 날짜를 따져볼 때 정확한 취득일과 상실일을 확인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비회원도 조회가 가능할까?

비회원도 '간편 인증 로그인'을 하면 사용가능하니 편했다.

개인인증 (카카오톡, 네이버 등)

공등 인증서 로그인을 해도 되지만 뭘 설치하라고 해서 그냥 카카오톡으로 개인 인증을 했다.

 


고용보험 가입 내역 날짜 확인하기

(1) 아래 '고용 산재보험 토털서비스' 사이트를 방문하면 된다.

https://total.comwel.or.kr/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total.comwel.or.kr

 

먼저 '간편 인증'으로 로그인을 하자.

 

(2) 상단 오른쪽 '개인' 버튼을 클릭한다.

 

 

(3) 개인으로 선택되어 있는 상태이다. 근로자 종류를 선택한다.

(4)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한다,

(5) 정보처리 동의에 클릭한다.

(6)간편 인증 로그인을 할 종류를 선택한다.

 

 

나머지 간편 인증을 해준다,

 

(7) 왼쪽 상단 쪽에 '고용, 산재보험 자격 이력내역서' 아이콘이 보인다. 클릭한다.

 

 

 

(8) 산재인지 고용인지 선택한다.

(9) 상용인지 일용인지 선택한다.

(10) 아래 조회 버튼을 클릭한다.

(11) 아래처럼 사업장명과 취득일, 상실일이 조회된다.

 

 


 

 

* 조회를 하고 보니 아래 내역서를 신청하기도 하고 메일전송을 하기도 하나보다. 아래 기능도 필요하다면 도움이 되겠다.

 

내가 가입했던 고용보험이나 산재보험의 정확인 취득일과 상실일을 정확히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하면 될 것 같다.

반응형